쿠팡파트너스 활동으로 인한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자동차세 연납 제도를 활용하면 1년 치 세금을 미리 납부하고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특히, 서울시에서는 이택스(ETAX)를 통해 손쉽게 신청이 가능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, 할인 혜택, 납부 시 유의할 점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목차
숨기기
1. 자동차세 연납이란?
자동차세 연납은 매년 6월과 12월에 부과되는 자동차세를 미리 납부하여 최대 5%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
서울시뿐만 아니라 전국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제도로, 서울시 거주자는 이택스(ETAX)에서, 그 외 지역 거주자는 위택스(Wetax)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.
2. 이택스를 통한 자동차세 연납 신청 방법
2.1 서울시 이택스(ETAX)에서 신청하는 방법
- 이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.
- 로그인 후 ‘신고납부’ 메뉴에서 ‘자동차세 연납’을 선택합니다.
- 본인 차량 정보를 확인하고, 연납 신청서를 작성합니다.
- 결제 수단(신용카드, 계좌이체 등)을 선택하여 납부를 완료합니다.
- 납부 후 영수증을 확인하고 보관합니다.
2.2 모바일 앱(STAX)을 통한 신청 방법
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경우, 서울시 세금납부(STAX) 앱을 통해서도 간편하게 연납 신청이 가능합니다.
3. 자동차세 연납 할인 혜택 및 신청 기간
3.1 연납 할인율 및 시기별 신청 기간
연납 신청 기간 | 할인율 | 납부 대상 기간 |
---|---|---|
1월 | 5% | 1년 치 (1~12월) |
3월 | 5% | 9개월 치 (4~12월) |
6월 | 5% | 6개월 치 (7~12월) |
9월 | 5% | 3개월 치 (10~12월) |
3.2 연납 신청 후 변경 및 취소 방법
연납 신청 후 차량을 매도하거나 폐차하는 경우, 환급이 가능합니다. 환급 절차는 이택스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, 지역에 따라 위택스를 통해 처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4. 자동차세 납부 시 유의사항
4.1 연납 후 차량 매매 또는 폐차 시 환급 절차
- 연납 후 차량을 매각하면, 남은 기간에 대한 자동차세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- 폐차 또는 말소 등록을 하면 자동으로 정산됩니다.
4.2 연납 후 타지역 전출 시 처리 방법
- 연납한 자동차세는 전출한 지역에서도 유효하므로, 별도의 신고가 필요하지 않습니다.
- 단, 이사를 가더라도 추가 납부가 발생하지 않는지 지자체 세무과에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5.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자동차세 연납 신청 후 취소할 수 있나요?
네, 연납 신청 후 취소를 원할 경우, 해당 지자체 세무과에 문의하면 처리 가능합니다. 다만, 연납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취소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.
Q2. 서울 외 지역에서도 이택스로 연납 신청이 가능한가요?
아니요, 이택스는 서울시 전용 서비스입니다.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위택스(Wetax)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.